자동차소재부품공학전공
동국대학교 WISE캠퍼스
전공소개
인사말
전공소개
교수진
교육목표
교육시설 소개
전공연혁
찾아오시는 길
입학안내
입학 홍보
입학처홈페이지
편입학
교육 및 학사
전공개설총괄표
교과목 해설
장학제도
봉사
졸업진로 안내
졸업요건
졸업 후 진로
자격증 정보
취업지원
학과활동
동아리
Photo Gallery
SNS
공지사항
학과 공지사항
전공관련기사
학과 학사일정
학교 공지사항
채용공고
QnA
특성화
특성화 사업
4MulaOne사업단
스마트팩토리 분야 및 전기자동차 산업계 인재 양성
자동차소재부품공학전공
HOME
특성화
특성화 사업
b
특성화
특성화 사업
4MulaOne사업단
특성화 사업
사업목적
지역산업 고도화 및 미래 자동차 소재부품 산업 선도 실무 인재 양성 지원
지역 미래 자동차 소재부품 산업 고도화 및 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한 지역인재 양성
자동차 소재부품 산업의 생태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지속 가능 인재 양성 체제 구축
주요 내용
교육과정 혁신
4Mula One 자동차 소재부품에 적용될 융복합 핵심기술 실무형 인재 양성을 위한 실무 형 교육과정 혁신
장학금·기업 실무교육·현장실습이 있는 3有의 혁신적 교육모델 수립
미래 자동차소재부품 전공 관련 산업 분야 지역사회 현장 맞춤형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지역전문대학 연계 DG-TAG(Dongguk-Transfer Admission Guarantee) 프로그램
고교 교육 기여 대학 연계 지역 특성화 고교 전문인력양성 교육프로그램
해외 취업 연계 국제교류 프로그램 혁신
지역산업 맞춤형 재직자교육과정 운영
교육방법 혁신
자동차 소재부품 융합 전공 실무형 인재 양성을 위한 혁신적인 교육 방법 제안
지역연계 특성화학과가 추구하는 자동차 소재부품 융합 분야 인재 양성을 위하여 교수ㆍ 학습법을 개선
자동차 소재부품 융합 전공에 최적화된 혁신적 교육 방법인 DGe-Active Learning을 적용하여 학생들의 역량 증진에 활용
DG-MOOC, OCT, BL, K-MOOC 연계수업 기반(e-Learning)을 통해 DGe-Active Learning 교육 방법 체계 확립
자동차 소재부품 융합 전공에 특화된 교육 관리를 위해 진단-수행-분석-환류(D-CESA, 성 취도 분석, 사후진단) 과정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전 주기 교육 질 관리 체계 확립
교육환경 혁신
자동차 소재부품 융합 전공 실무형 인재 양성을 위한 통합교육환경 구축(실험실 신설, 실 험실 개선)
신지식의 효율적인 교육을 위한 장비/시설 체계 및 제도 등을 갖추어 교육에 활용
교육과정 운영 성과와 질 관리 체계 구축(via D-CESA)
성과목표
기준값(자동차소재부품융합전공, 1~4학년 과정, 정원 25(100)명 기준)
PBL교과목 이수 학생 비율
학생 1인당 교육환경 구축장비 활용률
장학금수혜학생비율: 신입생(100%), 재학생(75%)
특성화학과 졸업생기준 : 100%
교육만족도: 2020년 전체재학생 교육만족도 값 72.80 기준으로 매년 3% 상향값 제시
특성화학과 졸업생기준 : 100%
참여기업 수: 2020년 10개 기준
참여기업 취업자 수: 교육이수자 중 참여기업으로 취업한 인원
산학협력 활동건수: 공동기술개발, 기업애로사항해결지원, 경영/기술자문, 멘토링(기업재직자), 재직자교육, 기업재직자 교육참여, 장비공동활용 등 실적 건수